소식

미래포럼은 미래에 대한 희망찬 꿈을 나누고자 합니다

유한킴벌리 최규복 대표 인터뷰, 한국산 편견 3년만에 벗기고 일본에 기저귀 갈아채웠다

최규복 사장.jpg


지난 5일 유한킴벌리가 외산 제품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일본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아마존 재팬을 통해 하기스 기저귀 유통을 시작한 것이다. 한동안 일본 기저귀의 공습에 시달렸던 한국이 마침내 기저귀 반격에 나선 셈이다. 17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유한킴벌리 본사에서 만난 최규복 대표는 자신감이 넘쳐 있었다. 최 대표는 일본 기저귀 시장 진출은 3년간의 절치부심(切齒腐心)’이 만들어 낸 결과라고 강조했다. 게다가 가격이 아닌 품질 승부다. 그는 일본 기저귀의 품질에 절대 뒤지지 않을 자신감이 있다시간이 좀 걸린다 해도 프리미엄급으로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기저귀가 에 뒤진다니자존심에 금‘= 20113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사고가 있기 전까지 우리나라 온라인 기저귀시장은 일본산() 기저귀가 장악하고 있었다. 메리즈 등 얇고 부드러운 일본 기저귀가 온라인시장 매출의 50%를 차지했고, 인터넷에서는 일본 기저귀가 한국 기저귀보다 품질이 좋다는 글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최 대표는 당시 기저귀를 포함한 유한킴벌리의 유아용품 전체 총괄을 맡고 있었다.

 

연구소에서 진행한 흡수력 테스트나 고객 대상의 만족도 테스트를 보면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에요. 우리 회사 제품(하기스)이 결코 뒤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 그렇게 생각하는 주부들이 한둘이 아니라는 말을 듣고 한동안 의문에 빠져 살았죠.”

 

답은 다름에 있었다. 일본의 기저귀는 얇고 부드러운 질감을 추구하는 데 비해 우리 기저귀는 푹신푹신한 안락함을 추구했다. 양국 소비자의 성향 차이가 제품에도 영향을 준 것이다. 곧바로 안감의 부드러운 질감을 보강했다.

 

많은 분들이 일본 방사능 때문에 유한킴벌리가 기사회생하신 것으로 아는데, 사실은 사고 전에 제품이 이미 출시됐습니다. 품질적으로 국내 제품이 일본 제품보다 우위에 오르지 않았다면 돌아선 소비자들의 수요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었을 겁니다.”

 

국내시장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유한킴벌리는 3년간 일본시장에 진출할 준비를 했다. 한국 기저귀가 일본 기저귀에 뒤지지 않는다는 자신감은 있었지만 자국 제품을 선호하는 일본 소비자의 성향을 감안해 만전에 만전을 기했다. 3년 전부터 일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지난해에야 유한킴벌리 기저귀가 일본 제품을 눌렀다.

 

일본 기저귀가 국내에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비결은 온라인이었어요. 이제는 우리가 반대로 온라인시장을 통해 일본에 진출하려고 합니다. 사업하는 입장에서 당한 것은 그대로 돌려줘야죠.” 일본의 온라인 기저귀시장 규모는 전체의 10%로 우리나라에 비해 작다. 하지만 아마존라쿠텐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판단이다. 일본 신생아 수는 연간 약 100만명으로 우리나라(40만명)의 두 배가 넘는다.


[출처:아시아경제 / [아시아초대석]한국산 편견 3년만에 벗기고 일본에 기저귀 갈아채웠다(201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