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

미래포럼은 건강한 미래사회 실현을 위해 함께 연구하고 토론하며 실천합니다

정기포럼

기후위기와 탈 인간주의

일시
2022년 09월 21일 15:00
장소
ZOOM(온라인)

프로그램


2022년 2차 온라인 회원포럼 Brave New Society (BNS) series 기후위기와 탈인간주의 (사)미래포럼은 오는 9월 21일(수),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김현미 교수님을 모시고 ‘기후위기와 탈인간주의’라는 주제로 2022년 두 번째 회원포럼을 개최합니다. 지난 3년 동안 (사)미래포럼은 “미래적 부가가치의 경로를 찾아서”라는 표제 아래, re-, co-, hyper- 의 경로를 중심으로 미래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묻는 논의를 진행해왔습니다. 올해부터는 관점을 옮겨 "어떠한 미래가 도래할 것인가"를 묻는 Brave New Society(BNS) series를 기획합니다. Eco- Techno- & ;Homo- 를 기본 개념축으로 하여, 초연결 시대의 단절적 전환과 융합적 변화를 통합적으로 조망하며, 인간 행위자의 주체성을 강조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통찰과 관점의 확장을 시도합니다. 이번 포럼은 Eco-를 중심으로 기후 위기 시대의 인간 행위자와 생태와의 관계를 탐색합니다. 인류학자 에두아드로 콘은 현재의 인류세(Anthropocene)를 ‘인간적인 것 너머의 세계가 너무나 인간적인 것에 의해 점차 변해버리는 불확실의 시대’라 정의합니다. 현재의 기후 위기 또한 인간 중심적인 발전주의 전략에 의해 생겨난 재해입니다. '다종의 세계'를 적극적으로 상상하고 실천하는 개념으로 등장한 비판적 '포스트-휴먼' 논의를 통해 현재의 기후 위기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실천과 개념을 논의합니다. 회원 여러분과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일시: 2022년 9월 21일(수) 15:00-17:00
참여방법: ZOOM 프로그램을 통한 온라인 진행(접속 방법은 초청장 하단 참조) 
강사소개
김현미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소장
한국여성학회 회장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이사
University of Washington 문화인류학과 박사
주요 저서
돌봄이 돌보는 세계(2022)
페미니스트 라이프스타일(2021)
덜 소비하고 더 존재하라(2016)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2014)
젠더와 사회(2014)
사회 : 장필화 한국여성재단 이사장
15:00~15:10 여는 인사 이혜경 미래포럼 이사장
15:10~16:00 발표  김현미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16:00~16:40 지정 토론 윤정숙 60+ 기후행동 대표
16:40~17:00 종합 토론
* 상기 프로그램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행사 준비를 위해 사전접수 부탁드립니다. 
온라인 포럼 ZOOM 접속방법
접속 URL: https://us06web.zoom.us/j/89378832854
회의 ID(Meeting ID): 893 7883 2854
PC, 노트북 상용시 : 위 URL로 접속 또는 회의 ID 입력 후 접속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사용시 : ZOOM Cloud Meeting 앱 사전 다운로드 ⟶ URL 또는 회의 ID로 접속
접속 후 : “컴퓨터 오디오 참가(Join with computer audio)” 버튼 클릭
미래포럼은 2004년 12월, 미래 세대에게 건강하고 밝은 터전을 넘겨주자는 취지로 설립되었습니다. 기업, 학계, 시민사회 등 각계각층 오피니언 리더가 모여서 건강한 한국사회를 만들기 위해 함께 연구하고 토론하며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미래포럼 04001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길 13(서교동) 한국여성재단빌딩 5층 T. 02-336-6453 F. 02-336-6459 E.meerae@meerae.org

미래포럼

사전참가신청하기

접속url클릭


후기

기후위기와 탈 인간주의

미래포럼의 2022년 2차 회원포럼이 9월 21일(수)에 개최되었습니다. Brave New Society (BNS) series의 두 번째 주제 Eco-로 진행된 금번 회원포럼은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김현미 교수님을 모시고 “기후위기와 탈 인간주의”라는 제목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사회는 장필화 한국여성재단 이사장님께서 수고해 주셨고, 지정토론은 윤정숙 60+ 기후행동 대표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이번 포럼은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더 많은 회원님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전면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하였고, 총 24분이 참여해주셨습니다.
김현미 교수님께서는 강연을 시작하면서 신자유주의 개발 이후 목격하고 있는 현재의 기후위기는 국지화된 기후위기가 아닌, 전 지구적 기후위기임을 강조하셨습니다. 특히, 팬데믹이 준 가장 큰 충격은 과거 다른 질병에 걸린 동물들을 살처분하면서 해결해왔던 감염병 문제가 이번에는 인간이 숙주가 되었다는 점, 즉 인수공통 감염병 시대를 맞이하였고 이와 같은 감염병 발생의 확률이 앞으로 더 높아질 거라는 점을 지적하셨습니다.
UN이 지난 약 30년간 강조해왔던 지속가능발전 아젠다가 이제는 불가능한 시점에 도래하였음을 우리 사회는 기후위기와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위기 하에 실감하고 있습니다. 호모사피엔스 종으로 지구상에 존재한 기간은 굉장히 짧지만, 인간중심주의에 의하여 인류세는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시대에 도달하였음을 이야기하셨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남반구의 탄소 배출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으며, 이에 인류세라는 말이 적절치 않고 북반구의 산업자본주의, 신자유주의에 입각한 자본세라고 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의견을 이야기한다고도 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 모든 현재의 위기가 인간중심주의가 자연의 모든 걸 정복했다는 기쁨의 시간이 아닌, 되려 인간 생명에 위협을 가하는 시대가 도래하였음을 의미한다고 하셨습니다.
김현미 교수님은 재난을 목격한다는 것은 우리가 이제까지 어떻게 세계를 구성해왔는지, 그리고 어떠한 관계를 맺어왔는지를 폭로당한 것과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폭로를 당한 사람들이 보통 제일 먼저 느끼는 감정은 수치심인데, 현재 기후재난과 팬데믹을 직면하면서도 우리는 폭로당한 자로서의 수치심을 가지고 있는지 다시 한 번 돌아봐야 할 시점이라는 것입니다. 재앙과 재난을 다루는 기존의 인류의 방식은 초국가적 협력체의 원조, 기술혁신, 연대와 대안적 가치의 모색이었으나, 지금의 기후위기, 코로나 재난을 다루는 우리의 방식은 이전과는 또 다르다고 하시며, 무너진 초국가적 협력체의 원조, 그리고 Covid Nationalism으로 인한 외국인, 빈곤 계층, 사회적 소수자 등에 대한 혐오가 나타나고 있으며, 모든 위기의 해결을 경제적 측면의 위기로 강조하고 해결방안은 경제적, 기술적 접근으로 국한하고 있음을 이야기하셨습니다. 물론, 다 같이 멸망하게 된다는 위기감 하에 연대하여 새로운 형태의 대안적 가치를 모색해야 한다는 운동을 시작하고 있는 점은 희망적이지만, 같은 시민사회라도 새로운 반사회적 집단들도 동시에 출현하고 있음을 목격하게 됨을 지적하셨습니다.
우리는 기후위기를 어떻게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응대해야 하는가. 즉, 감응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김현미 교수님은 우리 모두가 가뭄, 태풍, 다양한 건강문제 등을 겪고 있는 기후위기의 피해자로, 우리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변환해야할지, 중요한 공동체적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이에 있어서 중요한 네 가지는 포스트-휴먼 세계관의 중요성과 기후감정을 가져야 한다는 것, 바로 현재 여기에서의 정치가 중요하다는 점과 돌봄 전환 사회의 상상력을 구체적으로 가져가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셨습니다.
지정토론자로 나선 윤정숙 대표님께서는 녹색연합 공동대표이기도 하며, 올해 1월 19일에 창립한 60+ 기후행동 대표입니다. 토론에서 김현미 교수님이 강연하신 ‘기후위기와 탈 인간주의’라는 주제가 실제 시민사회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보여주셨습니다. 10년 전 공부 모임에서 시작된 생태 환경 공부가 실제 실천으로 이어진 과정을 설명하셨고, 60+ 기후행동의 창립 과정을 설명해주셨습니다.
60+ 기후행동은 작년 세계 기후행동의 날 직전에 첫 만남이 이루어졌고, 약 50번 이상의 자발적인 회의에서 치열한 토론과 합의를 거쳐 올해 1월 19일 탑골공원에서 창립을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10대 중학생부터 다양한 직종의 자문위원들과 서명에 참여한 수많은 60대 이상의 시민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의 60대 이상이 약 23.7%, 즉 사분의 일 이상을 차지하므로, 중요한 키를 지닌 세대라는 생각으로 노년의 재발견을 하겠다 라는 다짐을 강조하셨습니다, ‘우리가 달라져야 미래가 달라진다‘ 라는 메시지로 시작된 창립 행사와 기후위기의 증인이 되겠다 라는 마음가짐으로 시작된 월간 기후행동, 그리고 기후예산 등 기후이슈 만들기, 세대 간 연대를 통한 기후연대하기 등의 활발한 활동은 연결하며, 천천히, 단단히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긍정적이고 자발적인 시민 네트워크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리면 우리를 살린다‘ 라는 얼마 전 행사에서 들었던 구호를 소개해주시며, 의미있는 생태적 사유를 통하여 미래를 함께 열어나가는 변혁적 기후 시민이 될 것을 제안하셨습니다.
또 하나의 발제 같은 지정토론에 이어 패널로 참여한 분들께서도 다양한 질문과 의견을 개진해 주셨습니다. 앞으로도 회원 분들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